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 정보34

해독의 장기, 간을 지킵시다. 해독의 장기, 간을 지킵시다. 자도자도 피곤한 한국인! 게다가 야근에 회식에 쉴 틈이 없는 현실에서 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이제 연말이라 더욱더 술자리가 많아질텐데 미리 간에 좋은 음식을 알아두시고 조금이나마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간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면, 간은 우리 몸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몸에 들어온 영양소를 다른 물질로 바꾸어 온몸 구석구석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죠. 그래서 간에 이상이 생기면 에너지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기운이 없고 피곤하게 됩니다. 또한 간의 가장 탁월한 기능 중 하나가 바로 해독작용이죠. 음식을 통해 몸에 들어온 유독 물질을 해독하고 배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간이 망가지면 해독이 불가능하고 몸도 망가진다.. 건강 정보 2018. 11. 10.
기관지에 좋은 수세미의 효능 기관지에 좋은 수세미의 효능 수세미가 식물이라는 것은 많은 분들이 아는 사실이죠. 그러나 요즘 사람들에게는 수세미라고 말 하면 식물 수세미보다 주방 설거지 용품이 먼저 생각날 겁니다. 왜냐하면 실제 수세미를 도심에서는 찾기가 힘들고, 심지어 시골에서도 키우는 곳이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 아마 실물을 처음 보는 사람들은 이게 오이인지 호박인지 헷갈려할지도 모릅니다. 주방에서만 들어오던 수세미가 사실은 식물의 이름인 것을 처음 알고나서 놀라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그런데 왜 하필 이름이 같을까? 사실은 주방 용품 수세미의 어원이 식물 수세미에서 왔기 때문이죠. 수세미는 덜 익었을 때 식용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어린 열매일 경우 수확해서 먹고, 눌러 보았을 때 너무 익어서 부드럽게 눌리는 것은 먹을 수 없는 .. 건강 정보 2018. 11. 9.
제철 맞은 굴의 효능! 정력에도 굿!? 제철 맞은 굴의 효능! 정력에도 굿!? 정력의 상징! 카사노바가 좋아했던 굴 철이 다가왔습니다. 시장에 가면 여기저기 굴 파는 곳이 많아져서 굴 냄새가 진동을 합니다. 특히 김장철이 다가와서 더욱 그런 것 같네요. 굴의 제철은 9월에서 12월인데 3월까지도 먹기도 한답니다. 수온이 높아지는 봄 부터 여름까지는 굴의 산란기라 독성이 있어서 먹으면 안 된다고 하네요. 드시더라도 시기 잘 보고 드세요. 아이들은 보통 굴을 좋아하지 않죠. 왜냐하면 굴의 식감이 미끌미끌 말랑말랑거리고 맛도 비리고 보기도 그렇고 그다지 아이들이 좋아할만한 것이 없죠. 그러나 굴 맛을 아는 사람들은 굴에 환장을 합니다. 굴 특유의 향과 바다 내음이 굴의 맛을 더해주고 씹을수록 고소하고 말랑거려서 입에 쏙쏙 들어갑니다. 김치에는 꼭 .. 건강 정보 2018. 11. 6.
종합비타민은 정말 건강에 효과가 있을까? 종합비타민은 정말 건강에 효과가 있을까? 비타민이 몸에 필요한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죠. 비타민은 우리 몸에서 소량으로 작용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며, 몸 건강을 위한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종합비타민은 효과가 없다!" 여기저기서 이 말을 가지고 종합비타민의 효과 전체를 부정하는 글들도 보이는데 그것은 사실과 다릅니다. 여러 기사를 살펴보았는데 정확한 사실은 "종합비타민이 심혈관질환 예방에는 효과가 없다" 라는 것입니다. 몇몇 글들의 제목이 마치 종합비타민이 몸 건강에 전혀 효과가 없다는 듯 나왔지만 사실은 심혈관질환 예방에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실험으로 밝혀진 것이죠. 미국 앨라배마대학의 연구팀이 1970년부터 20.. 건강 정보 2018. 11. 3.
생강의 효능과 매운맛 정도를 알아봅시다 생강의 효능과 매운맛 정도를 알아봅시다. 생강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벌써부터 입이 알싸합니다. 고추의 매운맛과는 조금 다른.. 입에 들어가면 어처구니 없게 매운 맛! 그 맵다는 청양고추는 생으로 먹지만 생강은 몸에 좋다고 해도 생으로 먹는 사람은 거의 없죠. 왜냐하면 생강의 매운맛은 청양고추의 매운맛을 훨씬 상회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매운맛에도 단위가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그것을 스코빌척도라고 부릅니다. 미국인 윌버 스코빌씨가 만들어낸 척도라서 스코빌척도라고 불립니다. 전혀 안 매운 파프리카는 0, 청양고추의 스코빌척도는 4천~1만2천, 생강에 들어가는 진저롤 성분의 스코빌척도는 무려 6만!! 생강의 또 다른 성분인 쇼가올의 스코빌척도는 무려 16만!! 고추는 생으로 먹어도 생강은 생으로 못 먹는 이유.. 건강 정보 2018. 10. 31.